부산대 미술관 외벽 붕괴 사고... 부실공사 원인

부산대 미술관 외벽 붕괴 사고 부실공사

 

이번 참사도 결국 인재(人災)였습니다.

지난 5 외장 벽돌이 한꺼번에 무너져 60 미화원의 생명을 앗아간 부산대 미술관 건물 외벽이 부실하게 시공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산 금정경찰서는 부산대 미술관 외벽 붕괴사고 원인을 조사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감정서를 받았다고 2 밝혔습니다. 감정서에 따르면 미술관 외장 벽돌을 고정하는 구조물이 부실하게 설치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시공기준을 명시한 표준 시방서상 외벽 수직 하중을 견디는 앵커는 90 간격, 수평 하중을 잡아주는 철근은 50 간격으로 설치돼야 합니다. 미술관 1∼3 외벽과 달리 외장 벽돌이 떨어진 4∼5층은 아예 수직 앵커와 수평 철근이 없거나 표준시방서보다 넓게 띄엄띄엄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과수는 미술관 준공 당시(1993 9) 시방서를 부산대가 보관하고 있지 않아 표준시방서를 기준으로 조사했습니다.

 

 

 

 

경찰은 국과수 감정 결과를 토대로 당시 미술관을 지은 시공사와 학교 건물 안전 관리 책임자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미술관 시공사인 R종합건설은 이미 폐업했습니다. 경찰은 우선 폐업한 R 건설사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미술관 공사 경위와 공사 감리·감독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부산대가 지난해 시행한 미술관 정밀점검 결과를 압수한 경찰은 시설과 관계자를 상대로 건물 유지보수와 관리 실태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부산대 미술관은 지난해 처음 실시된 정밀점검에서 비교적 안전한 B등급을 받았지만 점검 5개월여 만에 외장 벽돌이 무너졌습니다. 부산대는 미술관처럼 벽돌 치장 공법으로 건축된 9공학관과 2사범관에 대해 긴급안전점검을 하고 학내 69 건물 전수 점검을 벌이고 있습니다.

 

댓글()